독일·프랑스·이탈리아 등 유럽각국 물가상승 마이너스
일본 물가, 2013년 5월 이후 첫 마이너스 상승률 기록

<디자인=김승종기자 / 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세계 경제를 디플레이션 공포가 짖누르고 있다.

일찌감치 물가안정을 목표로 마이너스 금리 등을 도입한 유로존·일본 등의 물가상승률이 당국의 의지와는 반대로 재차 마이너스로 돌아서는 등 세계경제가 불확실성의 늪에 빠져 허우적대는 모습이다.

유럽통계청이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발표한 유로존의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2% 하락했다. 

유로화 사용 지역의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올해만 2번째다. 2월에 -0.2%였다가 3월에는 0%로 다소 회복했지만, 또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이다.

유로존의 4월 물가상승률은 전문가들의 예상치인 -0.1%보다 낙폭이 컸다.

국제유가가 올해 들어 다소 회복하긴 했지만, 여전히 에너지 가격이 물가의 발목을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 보면 독일 -0.3%, 프랑스 -0.1%, 이탈리아 -0.4%, 스페인 -1.2%다. 유로존에서 경제규모로 1~4위를 차지하는 국가 모두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이다. 이밖에 지난 3월까지 17개월째 디플레이션 수렁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스위스를 비롯해, 그리스, 아일랜드와 동유럽 여러 나라가 저물가로 고전하고 있다.

유로존의 1분기 국내총생산이 전 분기보다 0.6% 증가해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었지만, 저물가 때문에 빛이 바랬다.

일본 역시 지난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작년 동기보다 0.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2013년 5월 이후 처음이다.

유럽중앙은행과 일본은행 모두 물가 안정 목표치로 잡고 있는 2%에 비해서는 턱없이 낮아 마이너스 금리 효과를 보고 있지 못하는 셈이다.

세계 각국이 이렇듯 물가 상승에 안간힘을 쏟는 이유는 경제 전반적으로 상품과 서비스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디플레이션을 막기 위함이다. 

1930년대 세계 대공황의 역사적인 사례에서 보듯 디플레이션이 지속되면 가계는 소비를 줄이고, 기업은 설비투자 등을 유보해 가격하락을 더욱 부채질하게 된다. 가격하락은 생산 위축을 초래하고, 생산 위축은 고용 감소와 임금하락을 초래하고, 실업과 소득감소는 상품과 서비스의 수요를 감소시켜 추가적인 가격하락을 부추기게 된다.

더욱 우려되는 현상은 디플레이션으로 인하여 채무자의 채무 실질가치가 더욱 상승하는 점이다. 가중되는 채무압박에서 벗어나고자 채무자는 소유한 자산과 재고를 처분하고자 하는 쏠림현상이 심화되면 결국 개인과 기업이 줄이어 파산하고 은행이 도산하는 공황으로 진전되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이같이 물가가 낮은 수준을 보이는 원인으로 여전히 낮은 원자재 가격등을 들고 있지만 물가 하락 원인이 단순히 낮은 원자재 가격이 아닌 중국을 중심으로한 글로벌 경기 성장 둔화에 있다는 점이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실제로 미국의 1분기 GDP 성장률은 0.5%로 2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중국도 6.7%로 7년만에 최저치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프레스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Tag키워드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