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실적·거래데이터로 사전 심사…대출 금액, 금리, 기간 등 커스터마이징

<그래픽=김승종 기자 ⓒ프레스맨>

지난해 금융감독원은 '1분 이내 대출' 등 허위 광고를 제재한다고 밝혔다. 대부업 등 고리의 대출을 막아 소비자들을 보호하겠다는 의도이지만 사실상 공정하고 정확한 심사가 선행되지 않는 무분별한 대출을 제재하고자 하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하지만, 이같은 규제는 이제 더이상 의미가 없는 세상이 도래하고 있다. 

최근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이른바 '핀테크'가 무서운 속도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고 그동안 은행 등 금융 기관의 점유물이었던 대출·결제·자금 관리 등의 서비스를 금융업이 아닌 일반 기업들도 앞다투어 뛰어 들고 있기 때문이다.

'핀테크'란 금융을 뜻하는 파이낸셜(financial)과 기술을 뜻하는 테크놀러지(technology)의 합성어로 모바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빅데이터 등의 첨단 기술을 활용해 기존 금융 기법과 차별화 된 새로운 형태의 금융기술을 의미한다. 

IT를 접목한 새로운 금융기술이라고는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핀테크'는 오래전부터 은행 등 금융기관이 적용해 온 기술이다. 개인의 주관적 판단을 가급적 제외하고 고객 데이터에 바탕을 둔 신용리스크 측정 시스템으로 데이터 마이닝이라는 금융공학을 이용해 발전시킨 CSS(Credit Scoring System) 등이 그것이다.

우리가 흔히 발급 받은 신용카드나, 대출 신청시 1차적인 심사는 모두 이러한 신용리스크 측정시스템을 적용해 금리나 한도금액등을 산출해 적용한다. 

이들 시스템은 한계는 말그대로 고객데이터의 빈약함에서 출발한다. 은행이나 금융기관들이 얻을 수 있는 정보는 기껏해야 직장, 결혼, 주거, 기대출유무, 예금, 결제 등으로 고도로 정밀한 신용리스크 측정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자영업 등 소규모 기업에 대한 대출 등은 담보나 보증인을 요구하는 등 심사 조건이 까다로워 실질적인 수요자에게는 여전히 문턱이 높은 것이 현실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방대한 고객데이터를 바탕으로 중무장한 아마존, 알리바바 등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앞다투어 '핀테크' 시장에 진출하며 은행 등 금융기관 고유의 점유물이었던 대출 시장에 적극 뛰어 들고 있다. 

이들 '핀테크' 기업의 서비스는 '대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결제·송금 등과 같은 익숙한 서비스는 물론이고 클라우드 펀딩, 암호통화, 개인의 재무관리(디지털 가계부) 등 다양한 서비스로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이들 서비스는 모두 기존의 방법과 제도를 파괴하고 수요 측면에 극적인 가치와 편익을 가져오고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온라인 대출의 예를 들어보자. 

자영업이나 중소기업이 금융기관에 대출을 신청하면 담보나 사업계획 등 복수의 심사 단계를 걸쳐 경영이나 재무상황 등 복합적 관점에서 융자에 대한 판단을 내리므로 대체로 수주간의 심사기간이 걸린다. 

반면, 아마존 같은 전자상거래 기업은 금융기관처럼 담보나 사업계획이 아니라 EC(전자 상거래)의 판매 실적 및 결제 데이터 등을 바탕으로 대출이 실행된다.

예를 들어, 아마존 재팬이 벌이고 있는 '아마존랜딩'에서는 그 대출 대상자를 '아마존마켓 플레이스에서 거래 실적이 있는 법인 판매 사업자'에 한해 단기 운전 자금을 대출하고 있다.

아마존에서는 미리 컴퓨터가 아마존마켓 플레이스에서 판매 실적 등을 바탕으로 사전 심사해 최단 하루만에 대출이 가능하다.  

대출 수요자 입장에서는 시의적절한 대출이 가능한 셈이다.

이처럼 아마존은 판매 실적 등의 데이터를 활용해 사전에 대출금액, 금리, 기간 등 대출수요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핀테크'는 금융시스템에 새로운 변혁을 불러올 커다란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IT를 구사한 이노베이션의 새로운 조류는 금융세계에도 몰려들고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프레스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Tag키워드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