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맨, PRESSMAN= 이혜주 기자)

 올 들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대를 횡보하면서 디플레이션 우려가 증가하고 있지만 현 상황은 1990년대 초 일본의 디플레이션 진입기와는 다르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동향팀은 28일 '소비자물가 중 가격하락 품목수 증가의 원인 및 평가' 보고서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낮은 건 국제유가의 영향을 받는 소수 품목의 가격이 크게 하락했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분석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2년 하반기 이후 1% 내외의 낮은 오름세를 지속하다가 올해 1~4월중 0.5%로 오름폭이 축소됐다. 

가격하락 품목수는 2011~12년 연평균 79개에서 2013년 이후 126개로 증가했다. 주로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과 농산물 공급증가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됐다. 

올 1~4월중 전체 가격하락 품목도 129개로 지난해 127개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물가상승 기여도는 -1.9%p로 지난해(-0.9%p)보다 확대됐다. 국제유가의 영향을 받는 특정 품목의 하락세가 컸기 때문이라는게 한은의 분석이다. 

실제 가격하락 품목 중 석유류 및 도시가스 등 7개 품목의 기여도가 -1.4%p를 차지했다. 나머지 하락 품목의 기여도는 -0.5%p에 불과했다.

이러한 추이를 종합해보면 일본의 디플레이션 진입 시기와도 상황이 다르다는 시각이다.

일본은 디플레이션에 진입하기 직전인 1994년부터 광범위하게 가격하락 품목이 확산됐다. 당시 일본은 소비자 물가 상승률 0.7%로 가격이 떨어진 품목 비중이 전체의 절반 가량인 206개(47.5%)에 달했다. 

이에 반해 한국은 1~4월 가격하락 품목 비중이 전체 품목의 26.3% 수준이다. 반대로 가격이 10% 이상 크게 떨어진 품목 수는 22개로 당시 일본의 하락 품목수인 8개보다 상대적으로 많다. 

한은은 "가격하락 품목수 비중이 과거 평균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소수품목의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해 물가 하락을 주도한 것"이라며 "앞으로 물가하락세가 광범위한 품목으로 확산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프레스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