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경영체제에도 경영진에 고액 상여금…근로자 임금은 동결

사진=포스코
사진=포스코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국민연금은 스튜어드십 코드를 행사해 포스코 경영진의 도덕적 해이를 바로잡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26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노 최고의원은 "국민 기업이자 국가산업체인 포스코가 경영진의 모럴해저드로 휘청거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 4월 포스코는 코로나19로 인한 비상경영체제를 선포하고 노동자들의 임금을 동결했다. 

문제는 경영진의 상여금이 대폭 늘었다는 것이다. 노 의원의 주장에 따르면 포스코 최종우 회장의 올 상반기 급여(총급여)는 전년 동기 대비 49% 늘어난 12억1000만원으로 알려졌다. 또 정윤하 사장은 지난해보다 120% 오른 10억원을 받아갔다. 

장인화 사장은 10억300만원, 전중선 부사장은 7억4천500만원, 김학동 부사장은 6억1300만원을 받았다. 그밖에 다른 임원들도 각각 30~100%씩의 상여금을 챙겼다고 노 의원은 말했다.  

갑질 행태도 도마 위에 올랐다. 포스코는 지난해 3조800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는데도 협력업체 대금 1000억원 가량을 연체했다가 올해 6월에야 상환한 것으로 전해진다. 노 의원은 국민연금에 "포스코가 혁신하는 모습으로 환골탈태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주주권행사가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경영진의 상여금이 문제가 된 것은 이달 초의 일이다. 당시 민주노총 산하 전국금속노동조합 포항지부는 "비상경영체제를 선포하며 비용절감을 부르짖던 포스코가 고위임원 급여는 예년보다 더 후하게 보따리를 풀었다"고 주장했다.

노조측의 주장에 따르면 회사는 원·하청 노동자에게 일방적 연차소진, 휴업을 강요했고 임금을 동결했으며 하청업체 매출 3년간 15% 삭감을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경영진에게는 오히려 더 많은 돈이 돌아갔다는 것이다. 

노조의 질타가 이어지자 포스코측은 "임원 보수는 급여와 성과금으로 구분되는 데 지난해와 올해 급여는 같지만 지난해 실적을 반영한 성과연봉과 지난 3년간 실적이 반영된 장기인센티브 지급 시점이 겹쳐져 금액 차이가 있다"며 "장기인센티브는 3년 단위로 경영실적을 평가해 4년 차에 지급하는데 지난해는 장기인센티브 지급기간이 아니었고 올해 지급하면서 금액이 증가했다"고 해명한 바 있다. [프레스맨]

저작권자 © 프레스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