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6→91.6, 2p↑…전경련, 수입 거래 기업 149곳 대상 조사 
"여전히 일본 90% 수준…외교적 타협 통한 관계 개선 필요"

지난해 7월 일본 수출 규제 이후 국내 소부장 기업의 경쟁력 변화.(자료=전경련)
지난해 7월 일본 수출 규제 이후 국내 소부장 기업의 경쟁력 변화.(자료=전경련)

일본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수출 규제 이후 1년이 지난 현재 우리나라의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경쟁력이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규제를 시작한 지난해 7월 일본 소부장 경쟁력을 100으로 가정했을 때 우리 소부장 경쟁력은 지난해 7월 89.6에서 올해 6월 91.6으로 2p 올랐다.

그러나 여전히 일본의 90% 내외 수준에 머물고 있어, 소부장 국산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일본 수출규제 1년,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변화'에 관해 설문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4~26일 시장조사 전문기업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매출액 기준 1000대 기업 중 일본과 수입 거래가 있는 우리기업 149곳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이에 따르면, 일본 대비 경쟁력이 가장 많이 상승한 업종은 반도체‧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었다. 1년만에 92.7에서 98.7로 4p 올랐다. 

지난해 7월초 일본의 3대 품목(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플루오린폴리이미드) 수출 규제 이후 이들 품목에 대한 경쟁력 강화 노력이 가장 컸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또 △1차금속 제조업 88.1→92.5 △식료품 제조업 91.9→96.3 △기타기계 및 장비 제조업 97.0→101.0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96.1→97.8 등 순으로 경쟁력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수출규제와 우리나라에 대한 화이트국가 제외조치 이후 일본으로부터 소부장 수입에 실질적 어려움을 겪은 기업은 전체의 23.5%였다. 반면 "실질적 어려움이 없었다"는 기업은 45.6%나 됐다. 

이는 일본의 조치가 실제 수출규제로 이어진 경우보다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았음을 방증하는 결과라는 게 전경련 측 설명이다. 

실제 조사 대상 기업의 68.5%는 수출규제 이후에도 소부장 수입선을 국내 또는 제3국으로 대체하지 않고 종전과 같이 일본에서 수입을 계속했다. 다만, 나머지 31.5%는 수출규제 이후 소부장 국산화 등 공급선 변화를 도모했고, 평균 3.35%를 일본 이외 공급선으로 바꿨다.

또 응답 기업 절반 이상(57.1%)은 "일본의 수출규제와 화이트국가 제외조치에 별도 대응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별도 대응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57.1%로 가장 많았고, △일본 외 대체 수입선 확보(18.8%) △국내 거래선 확보(17.4%) 등이 뒤를 이었다. 이 외에는 △부품소재 자체제작(4.0%) △생산품목 등 제품 포트폴리오 변경(2.7%) 등으로 대응하고 있었다.

한일관계 개선 필요성에 대해서는 "개선해야 한다"는 응답이 66.4%(매우필요 16.1%, 다소 필요 50.3%)로 "개선이 불필요하다"(3.4%)는 응답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관계 개선을 위한 가장 적절한 방안으로는 △한일 정부간 외교적 타협(66.4%) △WTO(세계무역기구) 등 국제중재수단 활용(11.4%) △미국의 한일간 중재(7.4%) 등을 꼽았다. 

전경련 국제협력실 김봉만 실장은 "일본 수출규제 1년 동안 우리 소부장 경쟁력이 정부와 기업의 노력으로 다소 상승했으나, 단기간에 소부장 경쟁력을 일본 수준으로 끌어 올리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며 "소부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관의 꾸준한 노력과 함께 양국 정부도 수출규제 해소를 위해 적극 노력해 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프레스맨]

저작권자 © 프레스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