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들, 판매사 상대 소송 준비 중

라임자산운용의 펀드 환매 연기 사태로 인한 파장이 점점 커지는 모습이다. 라임자산운용은 운용자산(AUM) 기준으로 국내 사모펀드 1위 업체이다. 사태의 발단은 이들이 지난해 10월, 사모채권과 메자닌(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등)에 투자하는 55개 펀드의 환매를 중단한다고 발표하면서부터이다.

환매 중단 대상은 곧 무역펀드 38개로까지 확대되면서 피해 규모가 8400억원대로 늘었다. 라임자산운용이 추측한 환매 중단 피해 금액은 최대 1조3300억원이었다. 당시 업계에서는 펀드 운용 실패가 여러 복잡한 요인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했다.

메자닌 등에 투자하는 펀드는 일반적으로 환금성이 떨어진다. 라임자산운용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투자자들이 언제든 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개방형으로 투자상품을 내놓았다. 만약 지난해 증시가 호황이었다면 메자닌을 주식으로 전환해 시세 차익을 얻고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예측과 달리 증시는 부진을 면치 못했고 환매는 쉽게 이뤄지지 않았다. 게다가 지난해 7월 금융감독원이 이른바 ‘수익률 돌려막기’ 의혹 조사에 나서면서 투자자들은 대거 환매 요청에 나섰다.

유동성 부족으로 중단시킨 펀드들은 쉽게 환매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고 무역금융 펀드(플루토 TF1호)의 자금 일부가 현지 자산운용사의 폰지 사기(투자자 돈으로 돌려 막는 다단계 사기)에 휩싸이면서 손실 위기에 처했다.

일각에서는 자산운용사와 펀드 판매사가 문제를 사전에 인지하고도 펀드 판매를 강행한 것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현재 폰지 사기와 관련된 설명을 사전에 듣지 못했다면서 판매사들을 상대로 소송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판매사들은 판매사대로 관련 정보를 알지 못했다면서 운용사에 책임을 돌리고 있다. 따라서 이번 사태를 둘러싼 법정 공방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관계자들은 말한다. 특히 쟁점이 될 만한 사안은 운용사의 도덕적 해이와 사기 논란으로, 부실을 알고도 감추지 않았냐는 것이다.

라임자산운용의 무역금융 펀드가 투자한 미국 현지 헤지펀드의 운용사 인터내셔널인베스트먼트그룹(IIG)은 최근 미국 금융당국으로부터 등록 취소 및 자산 동결 제재를 받았다. IIG가 2018년 말 투자자산이 채무불이행 상황에 빠진 것을 속이고 가짜 대출채권을 팔았다는 혐의 때문이다.

또한 라임자산운용은 지난해 6월 펀드 지분 일부를 싱가포르의 한 회사에 넘기고 약속어음 형태로 투자 자산을 바꿨다. 하지만 이 같은 사실을 정작 투자자에게는 알리지 않았다는 점에서 사기나 불완전 판매 논란이 추가로 불거지고 있다.

무역금융 펀드 투자자 대리인인 법무법인 한누리는 신한금융투자와 우리은행 등 판매사를 대상으로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 한누리 측은 손실액이 확정되지 않다 보니 손해배상이 아닌 계약취소에 초점을 두고 부당이득반환소송을 제기한다는 계획이다.

한누리 관계자는 "라임자산운용에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PBS·증권사가 헤지펀드 운용사에 대출, 증권 대여, 자문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를 제공한 신한금융투자는 적어도 이 사실을 알고 있었을 것"이라며 "다른 판매사에 대해서도 문제가 없는지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프레스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