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5일 울란바토르에서 북일접촉 추진
납치피해 당사자 하스이케 씨, 정부에 현실적 대응 주문

“이제 북일정상회담 개최 시기의 저울질이 시작됐다” (일본 정부 관계자)

12일 역사적인 북미정상회담이 열린 후, 북일정상회담을 향한 일본의 움직임은 더욱 빨라졌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북일정상회담 개최를 위해 본격적으로 북한과 접촉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기회를 놓치면 앞으로 또 언제 올지 장담할 수 없다”며 시간이 많지 않음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지지(時事)통신은 북미정상회담 직후 몽골에서 열리는 국제회의에 맞추어 북한 당국자와 접촉 하기위해 검토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14일, 15일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개최되는 안전보장에 관한 국제회의 ‘울란바토르 대화’에 외무성 아시아태평양국 참사관을 파견하며, 북한에서는 군축평화연구소의 간부가 출석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정부 관계자는 “그 기회에 2002년 북일 평양 선언을 기반으로 국교 정상화와 경제협력에 대한 일본 정부의 입장을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북미정상회담 후, 미일정상간 전화통화를 갖고 기자단의 질문에 답변하는 아베총리 (TV아사히 화면 캡쳐)

아베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일본인 납치문제 해결을 위한 북일정상회담 실현에 강한 의욕을 보이고 있다. 12일 오후 10시경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회담 후 기자단 앞에 모습을 보인 아베 총리는 “김정은 위원장이 완전한 비핵화를 명확히 약속한 의의는 크다”고 평가했다. 납치문제에 대한 언급도 빠지지 않았다. 아베 총리는 “납치 문제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한 것이 김정은 위원장에게 전달됐다”고 확인했다. 

일본 국회도 바쁘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12일 아사히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초당파 의원들로 구성된 ‘북일국교정상화추진 의원연맹’(회장 에토 세시로・衛藤征士郎)은 11일, 국회에서 약 10년 만에 총회를 열었다. 총회에서는 북미정상회담 후 납치문제 해결을 위해 의원 외교에 나서기로 결의했다. 

‘북일국교정상화추진 의원연맹’은 2008년 자민당 야마사키 다쿠(山崎拓) 부총재를 회장으로 하여 설립되었다. 북한과 대화 노선을 보였던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정권 하에서 방북까지도 검토된 바 있었지만 실현되지 못했다. 이후 북한이 핵과 미사일 문제로 강경한 자세를 보이면서 활동은 중단되고 말았다. 북한이 대화 노선으로 방침을 전환하면서 북미정상회담 실현이 다가오면서부터는 ‘납치문제해결의 천재일우의 기회(의원연맹 간부)’로 보고 활동 재개를 결정했다. 의원연맹은 여야당 국회의원 약 30명이 참가하고 있다. 

한편 일본 방송들은 이날 하루 내내 사실상 북미 정상회담 특보 체제를 편성하였으며, 통신 및 신문도 실시간으로 움직임을 전했다. 북미정상회담이 끝난 후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갖고 납치문제를 언급했다고 확인하자, 일본 언론들은 이를 일제히 속보를 타전하며 지대한 관심을 보였다. 

북미정상회담이 끝나자 기자회견을 통해 심경을 전하고 있는 요코타 사키에 씨 (TV아사히 화면 캡쳐)

또한 언론들은 북미정상회담 직후 납치피해자 가족들의 다양한 반응을 전했다. 주목할 만한 발언은 납치 피해 당사자인 하스이케 가오루(蓮池薫) 씨의 입에서 나왔다. 하스이케 씨는 “정부가 인정하는 피해자와 특정실종자 전원의 귀국을 추구하면 (사태가) 움직이지 않는다. 정부가 가진 생존 정보를 북한에 제시하고, 일정한 해결 라인을 결정할 시기가 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납치문제 해결에 있어 ‘감정론’이 아닌 ‘현실적’인 대응을 정부에 촉구한 것이다.

납치피해자 요코타 메구미(横田めぐみ)의 어머니 요코타 사키에(横田早紀江) 씨는 트럼프 대통령이 납치 문제를 제기해준 것에 대해 “정말 감사하다. 여기까지 왔으니 이제는 일본이 해야한다. 비관하지 않는다”고 소감을 밝혔다. 반면, 납치피해자 마츠키 가오루(松木薫)의 누나인 사이토 후미요(斉藤文代)씨는 “좀 더 확실히 전해줄 것이라고 생각했다. 문서(공동 성명)에 포함되지 않았다니 충격이다”라며 손수건으로 눈물을 닦기도 했다.  

일본 내 북한 전문가는 “일본이 북일정상회담에 의욕을 갖고 움직이고 있지만 북한은 ‘납치문제는 이미 해결됐다’는 입장이므로 회담 성사까지는 쉽지 않은 난관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당장 4년 전 북일 스톡홀롬 합의를 양국 간 재점검, 재확인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프레스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