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극심한 취업난에 일자리 창출이 국정 운영의 최대과제로 떠오른 우리나라와는 달리 일본에서는 기업들이 일손을 찾지 못해 아우성이다. 하지만, 일본의 이같은 노동력 부족 현상이 일본경제의 호황 보다는 고령화와 인구감소라는 구조적 문제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28일 일본 후생노동성이 발표한 6월 유효구인배율은 1.51배로 1974년 2월 1.53배 이후 4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리먼쇼크 직후인 2009년 8월 0.42배로 바닥을 찍은 이래 지속적으로 상승한 결과다.

유효구인배율이란 일자리를 찾고 있는 구직자 1명당 몇개의 일자리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1.0배를 넘으면 구직자보다 기업의 구인자 수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사람을 채용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기업이 존재하는 일손부족 상황을 일컫는다.

이날 발표된 바와 같이 일본의 유효구인배율은 일본경제 버블기에 준하는 수준을 보이고 있지만, 과거 초고도 경제성장기에는 이보다 더 높았었다. 1.53배 였던 1974년 2월의 직전월인 1월의 유효구인배율은 1.64배였고 그보다 앞선 1973년 11월은 1.93배로 통계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었다.

이 시기는 전후 5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초고도 경제성장기의 말기에 해당한다. 다나카 카쿠에이 전 일본총리의 '일본열도 개조론' 열풍으로 일본전역이 뜨겁게 달아오르면서 전국의 땅값이 급등하고, 매년 10% 이상의 물가상승률을 보이던 때다. 

하지만, 1973년 10월 제4차 중동전쟁 발발을 계기로 원유가격이 급등한 이른바 '오일쇼크'로 인해 경기가 순식간에 얼어붙으면서 불과 1년만인 1974년 10월에는 유효구인배율이 0.95배까지 곤두박칠 쳤다. 이후 1980년대 버블기인 1988년까지 유효구인배율은 1.0배를 밑도는 상황이 지속됐다.

한편, 이날 함께 발표된 6월 완전실업률은 2.8%로 1994년 이래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일본에서는 구직의사는 있지만 근무조건 등이 맞지 않아 취업을 하지 않고 있는 '불일치 실업률'을 3% 정도로 보고 있다. 즉, 완전실업률이 3%를 밑돌면 일할 의사가 있는 사람은 일할 수 있는 '완전고용' 상태로 간주한다. 

하지만 과거 초고도 경제성장기때는 이보다 훨씬 낮은 수준의 실업률을 기록한 적이 있다. 일본에서 완전실업률이 가장 낮았던 때는 1968년 11월과 1969년 11월, 그리고 1970년 3월에 기록한 1.0%다. 여성만을 놓고 보면 1970년 3월이 가장 낮은 0.9% 였다. 

경제성장이 절정으로 치닫던 1968년에는 일본의 국민총생산(GNP)이 당시 서독을 제치고 미국에 이어 세계 제2위 경제대국으로 올라섰다. 특히 이 시기는 1970년 오사카 만국박람회 특수로 일손이 더욱 딸렸다.

이처럼 과거 일본의 초고도경제성장기 취업시장은 이케다 하야토 내각이 '국민소득배증' 계획을 내놓을 만큼 경제성장과 더불어 임금 상승이 동반된 전형적인 경제호황기형이었지만, 최근의 일본 취업시장은 생산가능 인구 감소 등 사회구조적 변화 때문에 기인한 바가 커 과거처럼 넋 놓고 반길 일만을 아니라고 볼 수 있다. 

저작권자 © 프레스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Tag키워드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