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400조 의료·헬스케어 시장 주목해야"

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보수적·폐쇄적 日의료시장, 위협요인 많아"

일찌감치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일본의 의료·헬스케어 시장에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일본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일본 시장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와 방법론이 선행되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코트라((KOTRA)는 28일 '4차 산업혁명 시대, 일본의 의료·헬스케어 산업: 한일 경협방안 및 대일 진출 전략'을 발간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정보통신기술(ICT)과 활발하게 융합하는 일본 의료·헬스케어 시장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도 최근 보건산업브리프(일본 의료기기 시장 진출정보)를 통해 침체된 경제성장 속에서도 보건의료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일본 의료기기 시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일본의 의료·헬스케어 시장은 실제로 고령화 인구 증가에 따라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일본 총인구에서 일본 총인구에서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고령화율)은 26.7%로 정부가 해당 조사를 시작한 1920년 이후 처음으로 4분의 1을 돌파한 바 있다.

일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에 따르면 일본의 고령화율은 2020년 29.1%, 2030년 31.6%, 2040년 36.1%, 2050년에 이르러서는 38.8%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한다.

게다가 미국에 이어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세계 2위로 2015년 기준 247억 4000만달러에 달한다. 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일본은 병원수(2015년 기준 8382개)가 인도와 중국에 이어 세계 3위이고 선진화된 의료시스템으로 병원 내 의료기기 구비율도 매우 높은 편이다. 

일본 내 MRI기기는 인구 백만명당 46.9대(2011년 기준)로 이탈리아(23.7대), 호주(18.6대) 등의 국가보다 평균 2배 이상 많다. CT스캐너도 인구 백만명당 101.3대로 미국(40.9대), 스위스(33.6대)를 크게 웃돈다.

일본 경제산업성에 따르면 일본 의료·헬스케어 시장 규모는 2013년 169조원에서 2030년 392조원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같이 초고령사회로 접어든 일본은 ICT와 융합된 의료·헬스케어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다. 의료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제도를 개선하고 불필요한 규제를 지속적으로 완화하고 있어 일본 시장진출 벽은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반면, 2년 단위의 정부 주도 의료비 조율 등 정부의 시장개입이 많고 비즈니스 운영을 위한 비용이 높다는 점과 의료기기 규제시스템이 까다롭고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는 점은 일본 시장 진출의 위협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일본 시장에 능통한 한 ICT 전문가는 "일본의 의료정보화 시장이 황금시장이기는 하지만 가장 보수적인 집단인 일본의사회가 변하지 않는한 공격적인 일본진출을 어려울 것"이라며 "일본 시장에 대한 장밋빛 전망보다도 구체적인 문제점과 시장 진입에 대한 방법론을 세워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코트라는 보고서를 통해 ICT 기술이 융합된 생체현상계측·진단기, 의학영상정보시스템과 임플란트 제품 등 일본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유망분야와 더불어, 의료기기 승인 관련 한·일 상호인증협정 체결, 한·일 클러스터간 협력, 인재 육성·인적 교류를 통한 기술협력 진출방안 등을 제시했지만,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일본의 의료·헬스케어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민관 협력을 통한 좀 더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진출방안 확립과 실천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프레스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Tag키워드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