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644만4000명···임금격차 커지고 처우도 나빠져

비정규직 근로자가 640만명을 돌파했다. 비중도 확대됐지만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임금격차는 더욱 더 벌어지고 있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임금근로자는 1천962만7천명이었다. 이중 비정규직 근로자는 644만4천명으로 1년전에 비해 17만3천명이나 늘며 전체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근로자 비중은 32.8%에 달했다. 일본의 비정규직 근로자 비중이 37.5%이니 거의 일본수준에 다다른 셈이다. 

정부가 고용 유연성을 늘리고 여성의 경력단절을 막고자 시간제 근로자를 장려한 탓에 비정규직 근로자 중 시간제 근로자는 248만3천명으로 1년 전보다 24만7천명(11.0%)이나 늘었다. 

비정규직 근로자를 성별로 보면 남자가 290만 6000명으로 2만 4000명(0.8%) 증가했으며 여자는 353만 8000명으로 14만 8000명(4.4%) 늘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이 146만8천명(22.8%)으로 가장 비중이 컸고 그다음이 50대 138만2천명(21.5%)으로 중고령층 증가현상이 뚜렷했다. 은퇴 후 생계를 위해 비정규직 일자리에 취업한 경우가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최근 3개월(6~8월) 월평균 임금은 149만4000원으로 2만7000원(1.8%) 증가했다. 정규직 근로자 279만5000원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임금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정규직 임금은 1년전보다 9만9000원, 3.7% 인상된 반면, 비정규직은 2만7000원, 1.8% 인상에 그쳤다. 
  
그러나 이는 근속기간, 근로시간, 교육수준 등을 고려하지 않은 단순 월평균 임금을 계산한 것이다. 동일 조건으로 제한해 계산할 경우 비정규직과 정규직 임금격차는 10.5%로 전년동월비 0.3%p 확대됐다. 

복지 수준 격차는 더욱 컸다.

소폭 증가하긴 했으나 퇴직급여를 받는 비정규직 근로자는 40.9%, 시간외수당을 받는 비율은 24.4%에 그쳤다. 이 비율은 정규직에선 각각 85.5%, 58.4%였다. 상여금을 받는 비정규직은 38.2%로 0.8%포인트 하락했고 유급휴일을 받는 비정규직도 0.5%포인트 줄어든 31.4%였다. 상여금을 받는 정규직은 85.4%, 유급휴일이 있는 경우는 74.3%였다.

저작권자 © 프레스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Tag키워드
#N